초보자를 위한 캔들설명
트레이딩 또는 투자 입문자에게 차트를 읽는 것은 벅찬 일일 수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자신의 직감에 의존하며, 이를 바탕으로 투자를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전략은 상승장과 같은 시장 환경에서는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못합니다.
기본적으로 트레이딩과 투자는 확률 게임이자 위험 관리에 관한 것입니다. 따라서 캔들스틱 차트를 읽을 줄 아는 것은 거의 모든 투자 유형에서 필수적인 것입니다. 본 아티클은 캔들스틱 차트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읽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
캔들스틱 차트란 무엇인가요?
캔들스틱 차트는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서 자산 가격 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금융 차트 유형 중 하나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캔들스틱(candlesticks)으로 구성되며, 각 캔들스틱은 동일한 시간을 나타냅니다. 캔들스틱은 수 초에서 수 년까지, 거의 모든 기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캔들스틱의 역사는 17세기 근방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호마(Homma)라 하는 일본의 쌀 트레이더가 차트 도구로써 캔들스틱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아이디어들은 현대 캔들스틱 차트의 기초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후 호마의 연구 결과는 많은 이들의 손을 거쳤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현대 기술적 분석의 아버지 중 한 명인 찰스 다우(Charles Dow)에 의해 개선되었습니다.
캔들스틱 차트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은 금융 시장 분석에 사용됩니다.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이는 트레이더가 가격 변화 확률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와 투자자는 캔들스틱 차트를 통해 자신들의 분석에 기초한 시장에 대한 고유한 아이디어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캔들스틱 차트는 어떻게 구성되나요?
하나의 캔들스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격 지점들이 필요합니다.
- 시가(Open) —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 기록된 자산의 최초 거래 가격
- 고가(High) —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 기록된 자산의 가장 높은 거래 가격
- 저가(Low) —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 기록된 자산의 가장 낮은 거래 가격
- 종가(Close) —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 기록된 자산의 마지막 거래 가격
해당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보통 OHLC 값이라 합니다.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상관 관계가 캔들스틱의 모양을 결정합니다.
시가와 종가 사이의 거리를 몸통(body)캔들의 구성 이라 하며, 몸통과 고점/저점 사이의 거리를 꼬리[wick] 또는 그림자(shadow)라 합니다. 캔들의 고점과 저점 사이의 거리를 캔들의 구성 캔들스틱의 길이라 일컫습니다.
캔들스틱 차트는 어떻게 읽나요?
유사한 정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트레이더들은 기존의 바(bar) 또는 라인(line) 차트보다 캔들스틱 차트를 더 읽기 쉬운 것으로 생각합니다. 캔들스틱 차트는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가격 움직임을 간결하게 보여줍니다.
실제 상황에서, 캔들스틱은 특정 기간 동안 황소(bulls)와 곰(bears)의 싸움을 보여줍니다. 몸통이 길면 일반적으로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서 매수 또는 매도세가 강했던 것입니다. 캔들의 꼬리가 짧을 경우, 이는 특정 타임프레임 내의 고점(또는 저점)이 종가에 근접했음을 의미합니다.
색깔과 설정은 차트 작성 도구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몸통이 초록색이면, 자산의 종가가 시가보다 높음을 의미합니다. 빨간색은 특정 타임프레임 내에서 가격이 하락했음을 의미하며 즉, 종가가 시가보다 낮아진 것입니다.
일부 차트 전문가들은 흑백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초록색과 빨간색 대신, 가격이 상승할 경우 차트에는 속이 빈 캔들이 나타나고, 하락할 경우 검은 캔들이 나타납니다.
캔들스틱 차트가 말해주지 않는 것들
캔들스틱은 가격 움직임에 대한 보편적인 생각들을 얻는 데 유용하지만, 캔들의 구성 종합적인 분석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제공하지는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캔들은 시가와 종가 사이에서 일어난 일을 자세히 보여주지 않으며, 두 지점 사이의 거리(최고 가격과 최저 가격)을 보여줄 따름입니다.
일례로, 캔들의 꼬리는 특정 기간의 고점과 저점을 알려주지만, 어떤 일이 먼저 발생했는지는 말해주지 못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차트 도구에서는 타임프레임을 변경할 수 있고, 트레이더는 더 작은 타임프레임으로 차트를 확대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캔들스틱 차트는 특히나 작은 캔들의 구성 타임프레임일 경우 여러 시장 잡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캔들은 매우 빠르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읽어내는 것은 쉽지 캔들의 구성 않은 일일 수 있습니다.
하이킨-아시 캔들스틱
우리는 지금까지 일본의 캔들스틱 차트로 간주되곤 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러나 캔들스틱을 계산하는 다른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하이킨-아시(Heikin-Ashi) 기법입니다.
하이킨 아시는 일본어로 “평균 바(average bar)”를 의미합니다. 해당 캔들스틱 차트는 평균적인 가격 데이터를 사용하는 공식에 기초합니다. 이는 가격 움직임을 원활하게 추적하고, 시장 잡음을 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하이킨 아시는 시장 추세, 가격 패턴, 전환 가능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투자자들은 보통 잘못된 신호를 방지하고, 시장 동향을 보다 잘 포착하기 위해 하이킨 아시 캔들을 일본 캔들스틱과 함께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 꼬리가 없는 초록색 하이킨-아시 캔들은 강력한 상승 추세를 나타내며, 위 꼬리가 없는 빨간색 캔들은 강력한 하락 추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이킨-아시 캔들스틱은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도구일 수 있지만, 한계도 존재합니다. 해당 캔들이 평균 가격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패턴이 형성되기까지는 시간이 더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가격 차이를 보여주지 않으며, 다른 가격 데이터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캔들스틱 차트는 모든 트레이더와 투자자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도구중 하나입니다. 이는 특정 자산에 대한 가격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임프레임 내에서 데이터를 유연하게 분석할 수 캔들의 구성 있게 합니다.
캔들스틱 차트와 패턴을 포괄적으로 학습하고, 이에 분석적 사고방식과 충분한 연습을 더한다면 트레이더는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은 여전히 기초적분석과 같은 다른 방법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월봉,주봉,일봉,분봉을 이용한 캔들, 차트해석법- 1편
2.봉(캔들)의 구성
캔들하나는 거래가격의 시가, 저가, 종가, 고가를 표시한 도식이다.
그러나 시가, 저가, 종가, 고가의 4가지 가격만 가지고 봉을 해석하기에는 부족하다.
'나무만 보지말고 숲을 봐야한다'캔들의 구성 는 말이나 '숲이 아닌 나무를 봐야한다'는 말을 들어 봤을 것이다.
캔들(봉)에 있어서 월봉은 숲, 주봉은 나무, 일봉은 나무의 내부 단면, 분봉은 나무의 세포라고 할 수 있다.
(틱봉도 있으나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하자. 초단타를 하지 않을 거라면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이다.)
3.봉(캔들)의 활용
어떤 봉을 이용해 매매할것인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뉴스룸 손석희앵커의 멘트 '한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처럼 더 자세히 볼것인가 아니면 멀찌감치에서 볼 것인가는 다 다르다.
데이트레이더나 스윙트레이더라면 주봉이나 월봉은 거의 필요치 않다. 주로 분봉과 일봉이면 충분하다. 하지만 중,장기 투자자라면 분봉은 거의 캔들의 구성 필요치 않다. 이렇듯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하고 해석해서 활용하면 된다.
4.캔들의 해석법
월봉을 해석하기위해서는 주봉을 주봉해석은 일봉, 일봉해석은 분봉을 해석해봐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위해 비트코인(BTC)의 30분봉으로 일봉을 해석해보자.
12일의 30분봉이 일목균형표상의 구름대를 돌파(붉은원)하면서 12일의 30분봉은 우상향하였다. 실제로 12일의 일봉은 양봉을 형성하면서 18년2월13일 07시 52분 현재 양봉을 만들고 있다. 09시에 13일에 캔들이 만들어지기전까지 아직 2개의 30분봉이 남아 있는 상황.
13일의 일봉을 예측해보면 30분봉상에서 1번2번의 시나리오를 생각해 볼 수 있다. 30분봉이 구름대를 이탈하지 않는다면 13일의 캔들은 양봉일 가눙성이 크다. 30분봉상 볼린져밴드를 돌파한다면 13일의 일봉은 크게 상승하는 양봉도 예상해 볼수 있다.
캔들의 구성
플라스틱이 어떻게 무역장벽으로…예상 시나리오는
“플라스틱 협약 여파, 중화학업계 사업구조 전면 수정해야”[인터뷰]
제2의 무역장벽, ‘플라스틱세’ 다가오는데…이제 팔 걷는 한국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60% 육박하는 EU..국내는 아직 걸음마
캔들의 형태와 특성, 사계절로 쉽게 기억하자!
등록 2011-10-05 오후 1:59:47
수정 2011-10-05 오후 1:59:47
[이데일리TV 오지현 PD] 주식 전문가들의 투자 노하우를 전수하는 `대가들의 투자비법`에서는 임상현(세림) 이데일리ON 전문가가 ‘한국형 시간파동 트레이딩’ 강의를 가졌다. ‘캔들의 종류와 장대봉 매매 기법’에 대한 내용으로 각종 차트의 종류와 표기 방법, 파동의 기본 구조와 캔들의 원형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임상현 전문가는 캔들을 계절의 속성과 연결 지어 특성화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대봉과 5가지 핵심 캔들의 경우 음양오행이나 사계절의 변화 원리와 유사하여 이를 이용해 캔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데일리TV 홈페이지(www.edailytv.c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의 : 이데일리ON 1666-2200
▶ 강의 내용 1. 차트의 종류와 표기 방법 - 선차트 - 종가와 종가를 연결한 차트 - 바차트 - 시가는 왼쪽, 종가는 오른쪽에 표시 - 닻차트 캔들의 구성 - 종가 상승시 상승 화살표, 하락시 하락 화살표 - 봉차트 - 종가 상승시 빨간색, 하락시 파란색
Money Hunter
시가(open), 종가(close), 최고가(high), 최저가(low) 총 4가지의 정보를 가집니다.
시가(open price)는 기준시각을 기점으로 처음 형성된 시점의 가격
종가(close price)는 기준시각을 지나 마무리된 시점에 형성된 가격
최고가(high price)는 기준시각에서 형성된 캔들의 구성 캔들내 최고가격
최저가(low price)는 기준시각에서 형성된 캔들내 최저가격
시가와 종가의 차이가 몸통이 됩니다.
양봉 은 종가(봉의 마무리가격)이 시가(봉의 시작가격) 위에서 마무리 되었을때 나타납니다.
따라서 시가는 당연히 종가보다 아랫가격에 존재합니다.
양봉의 시가는 몸통의 하단에 종가는 몸통의 상단에 위치하게됩니다.
음봉 은 종가(봉의 마무리가격)이 시가(봉의 시작가격) 아래에서 마무리 되었을때 나타납니다.
따라서 시가는 당연히 종가보다 윗가격에 존재합니다.
음봉의 시가는 몸통의 상단에 종가는 몸통의 하단에 위치하게됩니다.
*캔들(봉)의 의미를 결정해주는 종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종가마감 시점이 중요합니다.
간단한 캔들 분석법
오른쪽부터 10개의 캔들을 세서 양봉과 음봉의 캔들의 구성 비율을 조사후 양봉의 비율이 높은경우를 HIGH
오른쪽부터 10개의 캔들을 세서 양봉과 음봉의 비율을 조사후 음봉의 비율이 높은경우를 LOW
(비율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비율일수록 HIGH 또는 LOW의 의미)
단기적인 캔들은 흐름이 매우 빠르게 바뀔 수 있으니 다양한 분석방법과 매물대 등을 병행하여 사용하여 차트의 흐름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주식 캔들 설명, 주식 봉 설명캔들 기본 설명
가장 기본적인 캔들(봉)의 구성 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캔들이지만 대부분 봉이라고 부르며,
년봉, 월봉, 주봉, 일봉, 분봉 (1분봉, 3분봉, 5분봉) 으로 부릅니다.
각 봉의 기준으로 위 그림과 같이 시가와 종가를 캔들의 구성 기준으로 나뉩니다.
가운데 몸통 캔들 위아래에 있는 "꼬리" 라고 불리며 캔들 몸통 위는 "윗꼬리"
캔들 몸통 아래는 "아랫꼬리" 라고 불립니다.
빨간색은 시가보다 종가가 올라간 양봉 , 파란색은 시가보다 종가가 떨어진 음봉 이라고 부릅니다.
양봉과 음봉은 시가(시초가)의 위치가 다릅니다.
장대양봉과 장대음봉
장대양봉과 장대 음봉은 말 그대로 상승과 하락폭이 커 장대양봉, 장대 음봉이라고 부릅니다.
망치형과 교수형
위의 장대 양봉, 장대 음봉과는 다르게 아랫꼬리 를 달고 있는 캔들 입니다.
시초가 보다 아래로 밀린 매도세를 장중에 강하게 끌어 올려 시초가보다 높은 종가로 마감하는 경우 입니다.
캔들 몸통이 짧을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해당 캔들의 위치가 일봉차트에서 저가권에 나타난다면 매수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장중 매수세 유입으로 시초가 아래의 매도 물량을 매수 했으나.
시가를 회복하지 못하도 매도 매물에 밀린 경우 입니다.
해당 캔들의 위치가 일봉차트에서 고가권에 나타난다면 매도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역망치형과 유성형
장중 이미 시세 차익을 실현한 매도매물에 밀려 종가가 형성된 경우 입니다.
해당 캔들의 위치가 일봉차트에서 저가권에 나타난다면 추세전환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장중 강한 매도세에 밀려 종가가 시가보다 아래로 형성된 경우 입니다.
주가의 하락추세를 예고하는 신호로도 볼 수 있으며,
일봉 차트에서 고가권에서 형성 되었으면 매도신호,
저가권에서 나타났다면 추가적인 조정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도지 십자형(십자 도지형), 도지 비석형(비석 도지형), 도지 잠자리형 (잠자리형 도지)
캔들 몸통이 없는 형태 인데 시가와 종가가 일치하는 캔들 입니다. 캔들의 구성
도지 십자형(십자 도지형)
매수세와 매도세가 팽팽할 경우 나타납니다.
추세 전환을 예측 할 수 있는 신호로 볼 수 있으며,
고가권에 서 나타났다면 하락 예고,
저가권에서 캔들의 구성 나타났다면 상승 예고로 볼 수 있겠습니다.
도지 비석형(비석 도지형)
장중 시가대비 주가가 상승 했으나 매도세가 강해 윗꼬리를 달은 경우 입니다.
매도세가 강했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하락 추세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도지 잠자리형(잠자리 도지형)
장중 시가대비 주가가 하락 했으나 매수세가 강해 아랫꼬리를 달은 경우 입니다.
매수세가 강했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상승 추세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식은 차트를 절대 무시하면 안됩니다.
하지만 이 런 차트와는 관계 없이 시장의 재료와 현재 시장의 환경, 뉴스로 인하여 무시되는 경우들도 많이 있지만,
충분히 참고 할만한 지표 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실적에 따라 움직이는 종목들도 있지만
굉장히 많은 종목들이 시장에서 인기있는 종목 위주로 움직이고
뉴스와 재료, 그날그날 수급이 들어오는 테마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매우 많으니 단순 지표로 활용 하시고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0 개 댓글